연습문제
1. 다음 표에서 cd 명령어의 의미를 빈칸에 채우시오
명령어 |
의미 |
cd . |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 (아무변화 없다) |
cd ../temp |
상위 디렉토리로이동뒤 temp로 이동 |
cd ~user2 |
user2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
cd ~/temp |
자신의 홈디렉토리 하위의 temp로 이동 |
cd /tmp |
루트디렉토리에 있는 tmp로 이동. |
2. 파일의 네가지 종류를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일반파일 : 실행파일, 텍스트 파일, 이미지 파일등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파일.
디렉터리 : 해당 디렉터리에 저장된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심벌릭 링크: 윈도의 바로가기 파일과 비슷한 것으로서 원본 파일을 대신하여 다른 이름으로 파일명을 지정한 것
장치 파일 :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시스템에 부착된 장치들을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3. 파일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ls 명령에 지정하는 옵션은 무엇인가?
-F
4. 절대경로와 상대경로의 정의를 기술하시오.
절대경로는 루트디렉토리서부터 하위 디렉토리로의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고 상대경로는 지금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5. 하드 링크와 심벌릭 링크, 복사 파일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하드링크는 파일의 이름을 하나 더 추가하는 것으로 inode값이 1 증가한다. 심벌릭 링크는 파일의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inode값이 증가하지 않는다. 하지만 심벌릭 링크는 디렉터리나 파일시스템이 달라도 생성가능하다. 복사는 말 그대로 원본을 카피하는 것으로 하드 링크와 심벌릭 링크처럼 원본 파일의 내용을 바꾼다고 해서 복사된 파일도 같이 바뀌지 않는다.
6. rmdir과 rm -r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rmdir은 지우려는 디렉터리가 비워져있지 않으면 지울수 없으나, rm -r은 디렉터리가 비워져 있지 않아도 지울 수 있다.
7. 디렉터리의 temp를 생성한 후 ls -a 명령으로 temp 디렉터리의 내용을 확인했더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 현재 디럭터리(.)의 하드 링크 값이 2인 이유를 설명하시오.
현재 디렉터리를 가리키는 inode 가 . 와 /temp 두가지가 있다.
8. 심벌릭 링크 A의 원본 파일은 B를 삭제한 후 C 파일을 B로 복사했다. 심벌릭 링크 A 의 내용을 출력했을 때 어느 파일의 내용이 출력되는가? 왜 그렇게 출력되는지 설명하시오
C의 내용이 출력된다. 그 이유는 심벌릭 링크는 원본 파일의 경로를 나타내는 파일이기 때문에 C파일의 내용이 복사된 B의 내용은 C의 내용과 동일하다.
※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9~14번)
9. 위 그림을 보고 현재 디렉터리가 ch2 일때 다음 표를 채우시오.
파일명 |
절대경로 |
상대경로 |
/ |
/ |
../../../ |
lib |
/usr/lib |
../../../usr/lib |
data1 |
/home/user1/ch3/data1 |
../ch3/data1 |
test |
/home/user1/ch2/test |
test |
hosts |
/etc/hosts |
../../../etc/hosts |
10. 현재 디렉터리를 lib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cd /usr/lib
11. rmdir명령으로 ch2 디렉터리를 삭제하려고 한다. 삭제되는지 확인하고, 삭제되지 않으면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ch2는 빈 디렉터리가 아니므로 삭제되지 않는다.
12. pwd 명령을 실행하니 현재 위치가 /home/user1/ch2였다. data1 파일의 내용을 행번호를 붙여서 출력하는 명령을 기술하시오.
cat -n ../ch3/data1
13. 현재 디렉터리에 data1 파일의 하드링크를 data1-hard로 만드시오.
ln ../ch3/data1 data1-hard
14. 현재 디렉터리에 ch2디렉터리의 심벌릭 링크를 ch2-sym이라는 이름으로 만드시오.
ln -s . ch2-sym
15. /etc/passwd 파일에서 bash 가 들어있는 행을 출력하시오.
grep bash /etc/passwd
16. /etc 디랙터리 아래에 이름이 passwd 인 파일의 경로를 찾으시오.
find /etc -name passwd
17 . cp의 실행파일이 있는 위치를 검색하시오.
which cp
'도서 >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연습문제 chapter 01 (0) | 2014.05.10 |
---|---|
페도라 리눅스 (fedora linux) 설치하기. (0) | 2014.05.10 |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이종원 지음 (0) | 201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