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을 위하여 우선 페도라 리눅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실제 컴퓨터로 실습하기는 힘든 관계로 vmware를 이용하여 설치를 할것이며 현재 구할 수 있는 페도라버전은 페도라 20 버전이다.
페도라는 http://fedoraproject.org/ko/get-fedora-all 에서 구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데스크탑버전 64bit 버전을 받아서 설치하였다.
여기서 직접 다운로드 X86_64 설치dvd의 링크를 클릭하면 약 4.3GB의 용량의 iso 파일을 받을 수 있다.
vmware의 설정은 교재와 같게 진행하였고 교재와 다르게 한것은 vmware warkstation으로 진행한 것이 다르다.
여기서 위의 Install Fedora 20을 선택한다
기본값은 미디어 테스트를 하느라 쓸데없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한국어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다.
파티션을 설정한다.
여기서 파티션 스키마를 표준 파티션으로 하고 자동으로 해버리면 교재에 있는 것과 똑같이 자동으로 잡혀진다. 어머 신기해라.
네트워크 설정 하는곳 보통은 DHCP로 설정되겠지만 나는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vmware에서 브릿지로 넷트워크를 구성한뒤 아이피를 수동으로 설정하였다.
루트 아이디와 사용자를 설정하라고 한다.
사용자까지 생성하고 기다리자.
설치가 완료되었다. 아까 설정한 사용자 암호를 치고 들어가자. 루트암호가 아닌 사용자 암호이다.
기본설정 한국어
키보드 설정
클라우드는 필요없다.
끝
페도라 리눅스의 설치가 완료되었다.
'도서 >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연습문제 chapter 02 (0) | 2014.05.17 |
---|---|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연습문제 chapter 01 (0) | 2014.05.10 |
페도라 리눅스 시스템&네트워크 이종원 지음 (0) | 2014.05.10 |